재해 복구 시스템(DRS; Disaster Recovery System)
1. 재해 복구 시스템(DRS; Disaster Recovery System)의 개요
가. 재해 복구 시스템(DRS; Disaster Recovery System)의 정의
나. DRS (Disaster Recovery System)의 필요성
재해복구 대책에 대한 법적인 규제 추세 (금융감독원 권고안 발표)
2. 재해 복구 시스템(DRS; Disaster Recovery System)의 구성 요소
구성요소 |
구성 요소별 주요내용 |
BIA (Business Impact Analysis) |
- 업무별 복구 우선 순위
- 데이터 복구 목표 수준 (Recovery Point Objective)
- 복구 목표 시간 (Recovery Time Objective) |
백업센터 |
백업센터 운영 형태 / 기술 형태 / 위치 |
백업방안 |
Hot Standby, DB shadowing, 원격 백업, Log/Journaling |
운영방안 |
조직체계, 평상시/재해시 운영절차, 모의 훈련절차 등 |
3. DRS 센터 유형
구분 |
Mirror Site (모든업무이중화) |
Hot Site (중요업무이중화) |
Warm Site (백업 및 Log전송) |
Cold Site (단순백업) |
개념 |
- 주전산 센터와 동일 - 데이터 및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실시간으로 원격지에 복제 - 재해시 실시간 서비스 가능 |
- 주전산 센터와 거의 동일 - 주요 데이터를 실시간 이중화 - 재해시 수시간내 서비스가능 |
- 기본시설,HW,NW확보 - 평상시 주기적으로 주요데이터를 Batch로 Log를 전송하여 백업센터에 반영 - 재해시 수일내에 대체가능 |
- 기본시설만 확보 - 평상시 주기적으로 주요데이터를 테이프에 백업하여 백업센터에 보관 - 재해시 HW,NW구축 하여 복구(1달) |
장점 |
- 완벽한 시스템 및 네트웍이중화 - 데이터 유실방지 - 실시간 복구 |
- Mirror Site에 비해 저렴 - 데이터 유실 방지 - 수시간내 장애복구 |
-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구성가능 |
- 가장 적은 비용으로 구성가능 |
단점 |
- 가장 비용이 많이 듬 - 시스템 ,하드웨어, 네트웍 이중화 필요 |
- 비용이 많이 들어감 - 시스템 ,하드웨어, 네트웍 이중화 필요 |
- 복구시간 장기화 - 백업 주기동안데이터가 유실되어 데이터 정합성 문제발생 |
- 복구시간이 가장 오래 걸림 - 백업 주기 동안 데이터가 유실되어 데이터 정합성 문제발생 |
'Storage Library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orage Vaulting 이란? (0) | 2014.05.23 |
---|---|
LTO란 ? (0) | 2014.05.09 |